SAA팀은 KSIF에서 운용하는 총자산을 무위험자산과 각 전략 별 운용팀에게 투자 금액으로 자산배분을 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KSIF 내의 모든 팀의 성과평가 및 KSIF 전체 리스크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등 KSIF 전체의 미들, 백 오피스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추가로, 무위험자산으로 배분된 금액은 채권운용 전략을 통해 투자하고자 한다. 각 업무별 구체적인 소개는 아래와 같습니다.
대형 연기금의 포트 폴리오의 성과를 결정하는 핵심은 운용목적에 부합하는 목표수익률과 위험감내수준을 설정하고, 전략적 자산배분을 통해 자산군별 최적투자비중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이처럼, KSIF 전체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의 대부분을 결정하게 되는 부분 또한 전략적 자산배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SAA 팀은 전략적 자산배분을 통해 성격이 상이한 자산에 적절히 투자금액을 배분함으로써 KSIF가 보유한 포트폴리오의 전체 위험을 줄이고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현재, SAA 팀은 팀별 성과에 의존하던 기존의 자산배분 전략에서 벗어나, 채권 (SAA) 파생 및 대체투자(DAR) 자산 군의 추가로 다양한 자산군을 확보한만큼 자산군에 따른 자산배분을 하고자 합니다. 이는 국내주식이라는 한정된 자산군에 투자를 진행하여 기존에 팀별 자산배분에서 문제되던 높은 상관계수와 모수 추정의 불확실성을 해소하며, 보다 최적의 자산배분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나아가 해당 자산군에 투자하는 팀별로 팀 특성에 맞게 팀 별 benchmark를 설정해 benchmark 대비 성과를 고려하여 리밸런싱 기간에 세부적으로 팀별 배분 금액을 조정하고자 하였습니다.
SAA팀은 내부에 리스크관리 파트를 신설하여 시장 리스크를 중점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특히, VaR, ES 전통적인 risk measure와 함께 최근 논문 등에서 소개되고 있는 새로운 risk measure에 대해 연구 중입니다. 또한, 실제 리스크 관리 규정을 참고하여 실무와 비슷한 KSIF 리스크 관리체계 수립을 위해 논의 중에 있습니다. 이와 함께 VBA 혹은 파이썬을 이용해 리스크 measure를 계산할 수 있는 시스템 또한 개발하고 있습니다. SAA팀의 리스크 관리 파트는 주기적으로 팀별 리스크를 측정하고 분석하기 위해 각 팀별 전략 검토 및 리스크 한도액에 대한 협의 및 시장에 이벤트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또한, 성과평가에 리스크 measure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성과평가 및 자산배분에 있어 KSIF 전체 포트폴리오의 리스크를 관리하고자 합니다.
팀별 운용 전략 및 성과가 모두 다르므로 KSIF 전체 포트폴리오 및 운용팀을 대상으로 성과 평가가 필요합니다. 특히, 어떤 전략이 왜 수익률이 높았는지 혹은 낮았는지, 또한 변동성이 높았는지 낮았는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SAA팀은 현재 분기별로 성과평가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현재 사용하는 성과평가 지표는 수익률 및 변동성, 샤프비율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Information ratio와 변동성 VaR를 보조 성과지표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리스크를 반영한 각 팀별 운용 성과를 측정하여 매달 성과평가 결과가 전술적 자산배분 결과에 반영되도록 해 각 팀별 성과에 대한 인센티브 혹은 패널티를 부여함으로써 활동에 대한 동기부여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채권운용팀은 SAA 팀에서 안전자산 운용 방법 중 하나로 활용하기 위해 신설된 팀입니다. 채권운용전략으로는 투자금액의 80%를 국고채 3년과 10년에 투자하는 Passive한 전략을 기반으로 20%를 채권운용팀의 View에 맞게 Active한 전략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주요 활동으로는 채권 리포트 및 논문을 읽고 회의를 통해 거시 경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며 그 의견을 토대로 매 월초 Bond Report를 발간하고 있습니다.